3 패스 전략
첫번째 (5분):
– Title, abstract, introduction을 명확하게 읽기 (따라쓰기).
– Section과 sub-section은 읽기.
– 수식들을 빠르게 보기.
– Conclusion 읽기.
– Reference를 보고 읽었던 논문을 tick 하기.
첫번째 패스 후 다음을 알 수 있다:
1. Category: 이것은 무슨 논문인가.
2. Context: 어떤 문제를 풀 수 있는가.
3. Correctness: Assumptions들은 맞는가.
4. Contributions: 이 논문은 무엇을 contribute 하는가.
5. Clarity: 읽기 편한가.
두번째 (1 시간):
– Detail (e.g. 증명)을 제외한 부분을 읽기.
– Comment를 달면서 논문을 읽기.
– “Dominik Grusemann: note down terms you didn’t understand, or questions you may want to ask the author.”
세번째 (3 시간):
– virtually re-implement the paper.
– 코드가 주어졌다면, 코드 읽어보기.
– 모든 부분을 공격해보기.
– 추후에는 어떤 work가 있을수있을지 생각하기.
– 논문을 덮고, 무슨 아이디어 였는지 떠올리기.
– 블로그에 정리.
출처:
[1] https://blizzard.cs.uwaterloo.ca/keshav/home/Papers/data/07/paper-reading.pdf